밭농업기계 개발 연구 센터 사업
- 사업단장 : 생물산업기계공학 김태한 교수
- 사업기간 : 2016년 2월 ~ 2026년 2월
설립 배경 및 필요성
사업 개요 및 목표
- 비전 : 밭농업 생산성 향상으로 경쟁력 강화
- 목표 : 소형 밭농업 기계 실용화 기술 개발 및 전문인력양성(밭농업밭농업 기계화율 12% 증대 기여)
1단계 중점 추진 과제
- 밭 농업 기계화를 위한 재배관리용 기계 및 부속 작업기 개발
- 고추 및 노지 채소 수확작업 편이기기 개발
- 논 밭 겸용 견인 트랙터 개선 개발
- 트랙터 부착형 다품목 적용 고효율 스마트 복합작업기 개발
- 밭 농업 소형 복합 토양관리기 개발
- 다작목 자주식 제초기 개발
- 소형 전동운반차 개발 및 다기능화
- 통합형 정식기 개발을 위한 고추 재배 최적 모델 및 성능 시험
- 정식기 시제품 분석 및 최적구조 설계
- 트레이 이송장치 및 육묘 취출장치 설계 및 모델링, 개발
- 고추 육묘에 적합한 취출 장치 개발 및 육묘의 손상을 방지한 이송장치 개발
- 투입호퍼와 식부장치개선을 통한 직립식부능력 향상 및 육묘의 손상방지 식부장치 개발
- 통합형 정식기 최적 구조 및 부품 제작, 시제품 제작
- 밭작물 수확기계 개발로 밭작물 경쟁력 강화
- 소형 부착형 고추 수확기 개발
- 소형 마늘 수확기 개발
- 인간공학적 다목적 소형 수확기(배추) 개발
- 사용자 의지를 반영한 리빙랩 운영을 통한 재배 표준화 및 맞춤형 수출 전략 개발
- 실증, 교육 리빙랩 운영
- 작목별 재배 표준화 매뉴얼 개발
- 국가별 수출 맞춤형 전략 개발
2단계 중점 추진 과제
- 밭 농업 기계화를 위한 재배관리용 기계 및 부속 작업기 개발
- 다목적 예취기 개발
- 논 밭 겸용 견인용 트랙터 개선 개발
- 트랙터 부착형 첨단 고효율 스마트 복합작업기 개발
- 고구마, 감자 줄기파쇄기 개발
- 다작목 멀칭비닐 수거기 개발
- 기 개발제품의 성능 검증 및 수명 연구
- 밭작물 기계의 성능 검증 매뉴얼화
- 밭 농업기계의 수명증가 연구
- 통합형 정식기 개발을 위한 고추 재배 최적 모델 및 성능 시험
- 육묘 취출 장치의 개선을 통한 양파 육묘에 적합한 육묘 취출 장치개발 개발 및 육묘 식부장치 개발
- 고추 육묘에 적합한 취출, 이송, 정식기술 적용을 통한 양파 정식기 개발 및 시험
- 양파 정식기 개선을 통해 배추 육묘에 적합한 육묘 취출 장치 및 이송장치 개발
- 배추 육묘 식부장치 개발 및 배추 정식기 개발 및 시험
- 밭작물 수확기계 개발로 밭작물 경쟁력 강화
- 소형 자주형 고추 수확기 개발
- 소형 양파 수확기, 감자/고구마 수확기 개발
- 인간공학적 다목적 소형 수확기(무) 개발, 잡곡(콩, 조) 수확기 개발
- 사용자 의지를 반영한 리빙랩 운영을 통한 재배 표준화 및 맞춤형 수출 전략 개발
- 실증, 교육 리빙랩 운영
- 작목별 재배 표준화 매뉴얼 개발
- 국가별 수출 맞춤형 전략 개발
기대효과
1) 지역적 파급효과
- 밭작물 기계화률 전국 1위 선점과 더불어 전국 확산의 구심점 역할
- 기술이전과 산업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
- 농가 수요기술 기반 구축과 농가경쟁력 향상
- 전문인력의 원활한 공급과 기술교육을 통한 산업단지 조성에 필요한 인적 인프라 구축
- 밭농업 농기계 상설 전시, 교육 및 현장실습을 위한 기반 구축
- 수출지원사업 등을 통하여 관련 지역업체의 수출 증대 기여
- 밭농업관련 교육 및 연구 메카로 자리 매김
2) 기술적 파급효과
- 소형·저가·다목적 밭농업 기계 기술 개발을 통한 핵심기술 확보 및 기계화율 확대
- 다양한 기계 맞춤형 재배 양식 개발을 통한 밭농업 기계화 촉진
- 개발된 밭농업기계관련 실용화 기술 및 성능검증 수명연장 기술 개발
3) 경제적 효과
- 밭작물 생산성 향상을 통한 생산량 증가
- 생산비용 절감으로 농업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제고
- 국산 밭작물 생산성 향상을 통한 식량 자급률 향상 기대
- 농기계 수출 증대에 기여
4) 산업적 효과
- 첨단 자동화 응용 산업 육성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
- 국산 밭작물 생산농가의 안정적인 수입을 통한 농업생산기반 유지
- 밭작물 자급률 향상 및 경지 이용률 제고를 통한 식량안보 능력 확대
- 농업 인구 고령 대비 및 노동 생산성 제고
- 노동력 절감 및 생산비 절감 등을 통한 생산효율 증대
참여기관 및 역할
- 1핵심 : 경북대학교, 부산대학교, 대동공업, ㈜아세아텍
- 2핵심 : 경상대학교, 전주대학교, 강원대학교, 그린맥스
- 3핵심 : 전북대학교, 순천대학교, ㈜한스메카
- 4핵심 : 경북대학교,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, 경상북도농업기술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