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학전공
우리나라 전 국토의 65%가 산림면적으로서 과거에 황폐하였던 산림이 1970, 80년대의 사방, 녹화사업으로 이제는 산림이 울창하게 변해가고 있으나 우리나라 전체 목재수요의 5%만이 국내재로 충당하고 95%를 외재에 의존하고 있어 목재의 해외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. 또한 지구의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산림의 공익적 기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, 산림의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. 따라서 산림자원의 조성과 보전 및 관리, 이용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연구, 교육함으로서 국가의 산업발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유능한 산림자원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.
학과 특성(특기분야)
- 산림자원의 조성
-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및 관리
- 산림 공학적 첨단기법의 환경 친화적 산림이용
- 국민 복지를 위한 산림휴양
- 임업분야의 현장 중심 교육
교수진 및 전공분야
교수진 |
전공분야 |
연구내용 |
주성현 교수 |
조림학 |
삼림생태학, 수목생리학, 토양학 |
박상준 교수 | 삼림공학 |
산림토목학, 임업기계학, 산지보전학(사방공학)
|
한상열 교수 | 삼림휴양학 |
자연휴양림, 생태숲, 숲길, 국립공원, 도시근교림 관련 산림휴양 전반
|
박주원 교수 | 산림경영 및 GIS/RS |
산림경영, 산림 GIS/RS, 산림정책
|
강준원 교수 | 수목생리학 |
임목육종, 산림미생물, 산림환경
|
취업 및 졸업진로
- 대학
- 국내외 대학과 전문대학의 석/박사급 연구원 및 대학교수 / 강사
- 국가기관(공무원)
- 일반직 : 산림청, 국립수목원, 농림부, 환경부, 각 시도 임업직 및 농림직 공무원
- 연구직 : 국립산림과학원, 각 시도 산림환경연구원 및 수목원, 국립공원관리공단 산하 연구원, 환경부 산하 환경 연구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, 농촌진흥청, 농업과학기술원, 농업생명공학원, 각 시도 농업기술원, 각급 농진청 산하 시험장 등
- 기업체
- 산림기술사 및 엔지니어링사무소, 산림법인회사, 목재관련회사, 펄프제지회사, 조경회사, 벤처기업 등
- 정부투자기관 및 공공법인체
- 국립공원관리공단, 농어촌진흥공사, 한국담배인삼공사, 각급 농협, 각급 신협, 산림조합 및 각 산하기관 등
- 기타
커리큘럼
학년 | 1학기 | 2학기 |
1 | - | 산림과학조경학개론 |
2 | 수목학 및 실습 I | 수목학 및 실습 Ⅱ |
수목생리학및실험 | 삼림토양학 및 실습 |
삼림측량학 및 실습 | 삼삼림측정학 및 실습 |
삼림자원경제학 | 수목병리학및실험 |
삼림곤충학및실험 | 삼림휴양관리학 및 실습 |
삼림통계학및실습 | 삼림수문학 및 실습 |
3 | 산지보전공학 및 실습 | 삼림생태학및실습 |
조림학 및 실습 | 삼림미생물학및실험 |
임목육종학 및 실습 | 삼림생태관광학 및 실습 |
삼림경영학 및 실습 | 삼림생물공학 및 실습 |
도시임업및실습 | 삼림토목공학및실습 |
학술림 종합 실습 | 삼림정책학 |
4 | 숲과 문화 및 실습 | 삼림환경보전학 및 실습 |
임업기계학및실습 | 해외임업론 |
삼림지리정보학 및 실습 | 해외 산림자원 및 임업 |
임학실습 Ⅰ | 야생동물관리학및실습 |
산림공간지리정보학 및 실습 | 임학실습 Ⅱ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