식품응용공학전공
식품응용공학전공에서는 식품 및 생명공학을 토대로 한 식품생명공학 분야, 식품기업, 식품생명관련 연구소, 외식산업체 등 국가와 지역의 특화된 식품 산업체를 기반으로 하는 창의적이고 글로벌화된 식품생명산업인력 양성을 기본 목표로 함.
교육목표
식품응용공학 전공에서는 Well-being을 넘어서 Lohas의 개념을 가지는 학문 분야를 추구하고 있으며, 식품소재 및 식품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성을 활용하여 식품향장학응용분야(미용식품학, 식품향장학 이론 및 실습 등), 기능성응용분야(차문화학, 식품과 비물질 에너지, 약용천연물학, 약리성식이요법학 등)와 응용공학분야(물질전달학, 응용식품경영개론 등) 및 외식산업응용분야(외식산업 특론, 파티쉐실습, 푸드코디네이션학 및 식음료학 등)의 식품응용 학문영역으로 적재적소의 특화된 인력양성을 하고자 함.
학과 특성(특기분야)
식품응용공학전공에서는 지역기술혁신센터(RIC), 지역중점기술개발사업(지경부) 및 광역경제권연계협력사업 등 식품응용분야에서 국내 선두권의 기술개발 실적이 있으며, 외국의 방문교수 교류 등 국제적 교류도 활발하게 진행하여 학생들에게 최고의 연구 여건과 글로벌화 된 최상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.
교수진 및 전공분야
교수진 | 전공분야 | 연구내용 |
---|---|---|
조영제 교수 | 식품생물공학 |
- 천연 약리성물질 탐색 - 미용식품 개발 및 산업화 - 기능성식품 개발 및 산업화 - 기능성화장품 개발 및 산업화 |
이원영 교수 | 식품품질관리공학 |
- 식품의 고품질 관리기술 - 선도유지 기술 - 초임계유체 응용기술 |
김병오 교수 | 미생물학 |
- 발효식품유래 유용 미생물 개발 - 미생물 발효에 의한 기능성 소재 개발 |
남주옥 교수 | 식품생화학 |
- 다양한 천연물 소재의 암 및 대사관련 질환 활성물질 탐색 - 기능성 물질을 이용한 식품으로서의 산업화 |
김수린 교수 | 미생물대사공학 |
-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생물전환을 위한 균주 개량 - 미생물의 발효를 통한 에너지, 화학, 식품 등의 생물소재 생산 - 생물소재의 생산성 및 수율 향상을 위한 발효 최적화 - 유전체, 전사체, 대사체 등의 생물 시스템 연구 |
정성근 교수 | 식품화학 |
- 생리활성(심혈관, 폐질환, 피부질환) 물질 추출 최적공정개발 - 환경오염(미세먼지)물질의 독성평가 및 대응 기능성식품 소재 발굴 - 천연식품첨가재 개발 |
취업 및 졸업진로
대학 | 국내외 대학, 전문대학의 석/박사급 연구원 및 대학교수 /강사 /조교 |
---|---|
국가기관(공무원) |
- 일반직 : 농림식품수산부, 환경부, 보건복지부, 각 시도 산하 보건직 및 위생직 - 연구직 : 농촌진흥청, 농업과학기술원, 농업생명공학원, 각 시도 농업기술원, 각급 농진청 산하 시험장, 국립환경연구원, 환경보건연구원, 각 시도 환경보건연구원, 환경관리공단, 및 산하기관, 수질검사소, 각 시도 상수도사업소, 국립보건연구원, 국립식물검역소, 한국식품위생연구원, 식품의약품안전청, 한국생명공학연구소 등 |
기업체 | 식품회사, 화장품회사, 제약회사, 각종 화학관련 업계, 주류관련회사, 환경관련업체, 외식산업체, 바이오 벤처기업 등 |
정부투자기관 및 공공법인체 | 한국식품연구소, 한국수자원공사, 농수산물유통공사, 농어촌진흥공사, 한국담배인삼공사, 한국자원재생공사, 각급 농협, 각급 임협, 생명공학연구원, 화학연구소 등 |
기타 | 생명의 융합학문을 요구하는 곳 |
커리큘럼
구분 | 1학기 | 2학기 | ||
---|---|---|---|---|
학년 | 과목명 | 학점 | 과목명 | 학점 |
1 | 식품공학개론 | 3 | 유기화학 | 3 |
2 | 응용식품생화학 1 | 3 | 응용식품생화학 2 | 3 |
응용식품미생물학 1 | 3 | 응용식품미생물학 2 및 실험 | 3 | |
식생활과 문화 | 3 | 차문화학 | 3 | |
응용식품화학 | 3 | 미용식품학 | 3 | |
응용식품경영개론 | 3 | 저장 및 선도관리학 | 3 | |
외식산업학개론 | 3 | 기능성파티쉐이론 및 실습 | 3 | |
3 | 농산가공이용학 및 실습 | 3 | 응용식품영양화학 | 3 |
전통식품발효학 | 3 | 식품위생학 | 3 | |
응용식품분석학 및 실험 | 3 | 응용식품기기분석 | 3 | |
식품응용효소학 | 3 | 기초식품향장학 및 실습 | 3 | |
생물물질전달학 | 3 | 식품단위공정 | 3 | |
응용기능성식품학 | 3 | 생명신소재공학 | 3 | |
4 | 식음료이론 및 실습 | 3 | 식품과 비물질에너지이용학 | 3 |
미생물의 실재 | 3 | 이멀젼 및 계면화학 | 3 | |
약용천연물학 | 3 | 물성 및 포장학 | 3 | |
식품품질관리공학 및 실험 | 3 | 피부영양학 | 3 | |
약리성식이요법학 | 3 | 푸드코디네이션학 | 3 | |
수산자원이용학 | 3 | 육가공이용학 | 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