식품소재공학전공
식품소재공학전공은 기술집약적 융합학문으로서 생명과학기술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과거 식품이 인류의 생명유지를 위한 에너지 영양의 공급수단으로 생각하는 단계에서 인간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및 치료에 활용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. 따라서, 식품소재공학전공에서는 첨단 생명공학과의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식품유래 고부가가치 건강기능성소재를 개발하고 이들을 기능성식품, 의약품, 기능성화장품 및 기타 다양한 생물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과 관련 기술을 다룸으로서 미래의 식품생명산업을 선도할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.
교육목표
식품소재공학전공은 분자생물학, 기능유전체학, 영양학, 기능성식품소재학, 발효미생물학 등 생명공학 기초학문과 식품소재 개발 및 응용관련 학문의 심도있는 교육 및 외국어 교육의 강화, 내실있는 실습 및 현장교육을 통하여 미래의 식품산업 현장에서 창의적이며 능동적으로 활약하게 될 글로벌 전문 인력양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.
학과 특성(특기분야)
본 전공은 1976년 낙농학과로 설립된 이래 동물자원과학과, 동물공학과, 생명식품공학부, 응용생명과학부 생명식품공학전공을 거쳐 2011년부터 식품공학부 식품소재공학전공으로 개편되었다. 현재 6명의 전임교수가 재직하고 있으며, 첨단 생명공학 기초학문을 기능성식품소재 개발 및 응용에 접목할 수 있도록 미래지향형 융복합 학문 특성에 맞추어 교육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.
교수진 및 전공분야
교수진 | 전공분야 | 연구내용 |
---|---|---|
김정상 교수 | 영양생화학 | 식품 및 천연물에서 암예방, 항산화, 항염증, 기억력 향상 성분의 탐색 및 작용기전 연구 http://webbuild.knu.ac.kr/~animal |
임진규 교수 | 식품단백체학 | 식품 단백질과 장점막의 상호작용 식품 단백질체 분석에 의한 식소재 검증 |
김학렬 교수 | 응용미생물학 | 미생물대사공학을 이용한 기능성 식의약소재 개발과 관련 대사계연구 http://webbuild.knu.ac.kr/~app-mic |
강남주 교수 | 식품기능유전체학 | 피부질환, 암 관련 표적단백질 발굴 화학유전체학 기법을 이용한 천연물 유래 표적지향형 기능성 소재 개발 http://www.beautysci.com |
박희수 교수 | 식품미생물 유전학 | 식품 소재 개발에 필요한 진균 바이오 시스템 개발 진균이 생산하는 이차 대사 산물을 이용하여 식품 및 의약품 소재 개발 |
한동엽 교수 | 식품천연물화학 | 식품 및 생약으로부터 건강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물질 발굴 분광학적 기기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화학구조 규명 |
취업 및 졸업진로
대학 | 국내외 대학, 전문대학의 석/박사급 연구원 및 대학교수 /강사 /조교 |
---|---|
국가기관(공무원) | - 일반직 : 식품, 농업관련 공무원, 식품의약품안전청, 농촌진흥청, 보건식품환경연구원, 국립보건원 - 연구직 : 한국식품연구원, 국립과학수사연구소, 원자력연구소 등 |
기업체 | 식품회사, 사료회사, 유통관련업체, 외식산업체, 제약회사, 바이오 벤처기업 등 |
정부투자기관 및 공공법인체 | 농어촌진흥공사, 각급 농협, 생명공학연구원, 화학연구소, 농지개량조합 및 각 산하기관 등 |
기타 | 병원, 제약회사, 병원불임클리닉, 생명과학융합학문을 요구하는 곳 |
커리큘럼
구분 | 1학기 | 2학기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학년 | 과목번호 | 과목명 | 학점 | 과목번호 | 과목명 | 학점 |
1 | FOOD211 | 식품공학개론 | 3-3-0 | CHEM504 | 유기화학 | 3-3-0 |
2 | ANSC311 | 기초생화학개론 | 3-3-0 | ACHE631 | 분자생물학 | 3-3-0 |
BIOF203 | 생물실험통계학 | 3-3-0 | BIOC431 | 생화학1 | 3-3-0 | |
BIOF204 | 기초영양학 | 3-3-0 | BIOF202 | 기초미생물학 | 3-3-0 | |
CHEM503 | 분석화학 | 3-3-0 | BIOF206 | 기기분석학 | 3-3-0 | |
3 | ACHE534 | 낙농식품미생물학 | 3-3-0 | ANSC463 | 발효유가공학 | 3-3-0 |
BIOC432 | 생화학2 | 3-3-0 | ANSC582 | 실험동물학 | 3-3-0 | |
BIOC622 | 세포생물학 | 3-3-0 | CHEM635 | 천연물화학 | 3-3-0 | |
FOBI201 | 기초생리학 | 3-3-0 | FOBI315 | 식품소재학 | 3-3-0 | |
FOBI312 | 식품생명화학 | 3-3-0 | FOBI346 | 식품생화학및실험 | 3-2-2 | |
FOBI347 | 식품소재분석학및실험(전공필수) | 3-2-2 | FOBI348 | 기능성 식품과 면역 | 3-3-0 | |
FOBI412 | 낙농식품미생물학 실험 | 2-0-4 | ||||
MBIO326 | 유전공학및실험 | 3-2-2 | 4 | ANSC477 | 근육식품학 및 실험 | 3-2-2 | FOBI403 | 식품가공원리 | 3-3-0 |
FOBI402 | 식품보건학 | 3-3-0 | FOBI408 | 식품소재공학세미나 | 3-3-0 | |
FOBI404 | 식품소재공학연습 | 3-3-0 | PHAR252 | 건강기능식품학 | 3-3-0 | |
FOBI406 | 의약식품학 | 3-3-0 | ||||
FOBI413 | 식품위생.미생물학및실험(전공필수) | 3-2-2 |